Interview with Kim Mi-wol, author of “What Has Yet to Happen”

What Has Yet to Happen Cover, Kim Mi-wolAs regular readers know, KTLIT reviewed Kim Mi-wol‘s What Has Yet to Happen (Yeah, you can buy it at that link!) a few days ago and loved it for it’s extremely unusual take on the end of the world, hangovers, and peaches.^^

We were also lucky enough, through the offices of ASIA Publishers (who have just about 90 bilingual books translated now in the last two-three years), to sit down with Kim as well as conduct an interview with her online. From my perspective this interview was beyond awesome if only because, (read the book!) I had not connected to two main characters in the present to an important mention of characters in the past, and apparently my reading was wrong.

Author Kim is a strikingly thoughtful speaker, seeming to consider each word (which I suppose is a good thing for an author), and the following, in Korean and English (mad props to Professor Ed Park from DLI in California for the translation – why he is not an internationally famous translator is a mystery to me) is our conversation online:

1) 왜 작가가 되고 싶었습니까? 어떻게 글쓰기를 시작했나요?
What made you want to become an author? How did you start writing?

어렸을 때 책을 읽다가 이야기에 몰입하여 주변의 모든 것이 사라지고 세상에 오직 책과 저만 남은 듯한 경험을 할 때가 종종 있었는데, 책이 끝나면 그 순간도 끝나는 것이 몹시 허무했습니다. 그러나 세상의 모든 책은 끝나게 마련이니, 어떻게 하면 끝나지 않는 책을 찾을 수 있을까 고민하다가, 그렇다면 내가 직접 써보자, 겁도 없이 그렇게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When I was young, I often Immersed myself in the story while reading a book. Then, it seemed that only the book and myself remained and everything else around me would fade away. The moment I finished the book, however, that special feeling ended as well. That left me feeling very empty. Still, all books in this world come to their end. I pondered on finding a book that does not end, and that search led me to writing a book myself. I did not know what I was getting into then.

물론 그때는 이야기를 쓴다는 것이 어떤 의미를 지니며 어떤 식으로 써야 하는지 전혀 알지 못했습니다. 다만 책을 읽다가 결말이 마음에 들지 않으면 책 뒤쪽 여백에 제 마음대로 결말을 고쳐 썼습니다. 예를 들면 ‘작은 아씨들’과 ‘플란다스의 개’와 ‘소나기(황순원)’와 ‘테스’ 등이 있습니다. 그것들이 다 비극인 것을 보면 어린 마음에도 해피엔딩을 선호했던 모양입니다.

I had no Idea then what a story writing meant and how I was to approach it. However, when the book I was reading had an ending that I did not like, I would re-write the conclusion of as I see It fit. Little Women, A Dog of Flanders, Sonagi (by Hwang Soon Won) and Tess are some of the examples. Considering the examples are all tragic stories, I must have preferred a happy ending even in my younger years.

처음으로 온전한 작품을 쓴 것은 초등학교 5학년 때입니다. 화성에서 지구로 온 소년이 주인공인 SF 소설인데, 비극이 싫어 남의 작품들을 고쳤으면서 제 첫 작품도 결국 비극으로 끝났습니다. 그것은 저에게 소설의 결말이라는 것에 대해 많은 생각을 하게 했습니다. 당시 그 작품을 엄마와 친구 이렇게 두 명에게 보여주었는데 모두 저를 응원해주었지만 애석하게도 이사를 다니는 와중에 원고를 잃어버렸습니다. 그래도 저에게는 그 작품의 의미가 너무나 커서 사실(이건 비밀이지만) 그 주인공의 이름을 지금도 제 서명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I wrote my first work when I was a 5th grader. It was a science fiction about a Martian boy who visits the Earth. After all the re-writes I had done to get escape tragic endings, my first story also had a sad ending. That story had me thinking about various ways of closing a fictional work. At that time, I showed my story only to my mother and a friend. Both encouraged me to write more. Sadly, I lost the manuscript while moving. The work meant so much to me that I still use the main character’s name as my pen name (this is a secret).

2) 작가님의 어린 시절은 어떠했나요?
What were you like growing up?

태어난 곳은 강릉이지만 공무원인 아버지의 발령으로 초등학교 때와 중학교 때 각각 홍천과 춘천으로 전학을 가야 했는데, 또래 아이들과 달리 저는 전학 가는 것을 좋아했습니다. 익숙한 것과 헤어지는 슬픔보다 새로운 것을 만나는 즐거움이 더 컸기 때문입니다.

I was born in Gangneung. My father was a public servant at the time. So, following his assignment posts, I had to move my school to Hongcheon for elementary school and to Chuncheon for middle school. Unlike many children, I liked moving to a new school. The excitement of encountering something new was overwhelming. The sadness of separation from things that were familiar paled In comparison.

저는 오빠와 남동생만 있고 자매가 없어서 사내애들처럼 놀았습니다. 강릉은 바다가 있는 도시지만 제가 살던 집은 산 아래에 있어서 오히려 바다보다 산에 올라가 놀았던 기억이 더 많습니다. 홍천에서는 집 주변에 넓은 공터가 있어서 오빠와 남동생과 매일 축구를 했습니다. 홍천은 춥기로 유명한 곳이라 겨울이면 밖으로 나갈 엄두가 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겨울 내내 따뜻한 방에 오빠와 남동생과 셋이 나란히 앉아 경쟁하듯 책을 읽곤 했습니다. 그 무렵이 제가 책의 줄거리를 마음대로 바꾸던 때입니다. 중학교 때 춘천으로 전학 간 후에는 사춘기에 접어들어서 혼자 방에 틀어박혀 종일 책을 읽거나 FM 라디오를 들었습니다.

I played like a boy when I was young because I only have brothers, one older and one younger. No sister. Gangneung is a city next to the East Sea, but the house I grew up in was at the foot of a mountain. Naturally, I remember playing more on a mountain than in the sea. In Hongcheon, there was a wide empty lot near my home. My brothers and I played soccer there every day. Hongcheon is known for its cold climate. Going outside during winter was simply unthinkable. So, my brothers and I sat together in a heated room and read books, almost competitively with each other, during winters. That was when I re-wrote the storyline of a book as I desired. After I moved to a middle school In Chuncheon, I hit my adolescence. I stayed in my room and either read all day or listened to FM radio.

3) 작가님의 글쓰기 과정은 어떻게 이루어집니까?
Could you describe your writing process?

저는 무척 게을러서 책상 앞에 앉아 있는 시간이 짧고 불규칙적입니다. 글 쓰는 시간보다 음악을 듣거나 산책을 하거나 아니면 음악을 들으면서 산책하는 시간이 더 깁니다. 그러다가 어느 날 문득 특정한 인물이나 특정한 풍경이나 특정한 사건을 접하면 제 속의 무엇인가가 슬쩍 움직이면서 갑자기 글을 쓰고 싶어집니다.

I’m very lazy. The time I spend at the desk is short and irregular. Compared to the amount of time I spend writing, I spend more for listening to music, taking a stroll, or taking a stroll while listening to music. When I meet a certain person, encounter a certain scenery or experience a particular situation, something in me changes subtly and, all at once, I want to write.

예를 들면 공원에서 혼자 울고 있는 청년을 보고 제 마음이 움직였습니다. 그러면 그때부터 저에게 질문을 합니다. 저 청년은 왜 울까, 누가 그에게 상처를 주었을까, 그런데 만약 상처를 준 가해자가 청년에게 상처 줄 의도가 전혀 없었다면, 그렇다면 울고 있는 청년의 상처에 대한 책임은 누구에게 있는가, 나아가 인간의 상처에 책임을 진다는 것이 가능한 일인가, 이런 식으로 말이지요. 그렇게 단상을 이어가다가 그것을 메모하고 틈날 때마다 살을 덧붙여 이야기를 만듭니다. 하지만 워낙 게을러서 그렇게 이야기를 만들어낸 후에도 책상 앞에 앉기까지는 오랜 시간이 걸립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글쓰기 방식이 꼭 정해진 것은 아닙니다. 작가로 막 데뷔했을 무렵에는 먼저 쓰고자 하는 주제를 정하고 그 다음 인물과 사건을 종이에 도표로 정리한 후 집필하는 방식을 취했기 때문입니다. 시간이 더 지나면 집필 방식이 또 달라질지도 모르겠습니다.

For instance, let’s say I noticed a change in my heart when I saw a young man weeping by himself at a play park. Then, I would ask myself a series of questions. Why would that man cry? Who would have hurt him? If the assailant who hurt him had no intention of hurting him, than who is responsible for the hurt this young man sustained? Furthermore, is it even possible to be responsible for an injury of a human being? So on and so forth. These quick thoughts would continue and I would take notes on them and add more flesh to It whenever I find time. Even when the storyline is composed, It takes a long time before I sit at the desk. This is because I’m so lazy.

My writing process, however, is not fixed. When I initially debuted as a writer, I selected the theme I wanted to write about and organized the characters and events on a paper chart and began to write. As more time passes, how I write may change yet again.

4) 작가가 갖추어야 하는 가장 중요한 특성은 무엇이라고 생각합니까?
What do you think is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 an author must have?

편견은 없되 자신만의 색다른 사고, 세상을 보는 자신만의 고유한 시선은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것이 없으면 글을 쓸 수 없거나, 글을 쓴다 한들 독자의 마음을 움직일 수 없는 죽은 글이 되겠지요.

Barring prejudices, I think an author must have a unique way of thinking, a unique way of looking that is particular to the person. Lacking that, an author is not able to write, or even if one does, one will write dead words that can’t move the heart and mind of the readers.

5) 좋아하는 작가는 누구이며 작가님에게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요?
Who are your favorite authors, and how did they influence you?

좋아하는 작가는 많지만 최초로 좋아하게 되었던 작가는 오 헨리입니다. 아직 저의 작품이 너무 부족하여 감히 어떤 영향을 받았노라 단정하기는 어렵습니다만, 중학교 때 오 헨리의 작품을 읽으면서 제가 배운 소설의 정의와 반대되는 소설이라는 생각을 했습니다. 소설의 사전적 정의는 ‘일어날 법한 일을 허구로 꾸민 문학 작품’인데 그의 작품은 대개 ‘좀처럼 일어나기 어려운 일’을 허구로 꾸민 것이었습니다. 그런데도 그 작품에 저 자신이 설득되어서 ‘일어나기 어렵지만 일어날 수도 있지, 일어나면 좋겠다’ 하고 바라게 된다는 것이 놀라웠습니다. 그밖에도 여러 장점이 있지만 저는 특히 그의 작품이 개연성과 작위성 사이의 경계를 아주 매력적인 방식으로 아슬아슬하게 오간다는 것 때문에 좋아하게 되었습니다.

I have many favorites. The first I really liked was O. Henry. My works still have lots of room to improve, so it is difficult to say what influence I got from which author. However, as I read O. Henry’s works during my middle school years, I thought the works were completely opposite to what I had learned a fiction should be. The dictionary definition of a fiction I learned was, ‘a literary work born of author’s imagination on things that are likely to happen.’ O. Henry’s works, however, are born of his imagination about ‘things that are very unlikely to happen.’ Even so, I was persuaded by his words, so that I began wishing, “it’s very unlikely, but It could happen. I wish it happens.” I was surprised by my own reactions. There are other merits to his works, but I grew fond of his works because of how they walk the fine line between the probability and artificiality in a precarious but fascinating manner.

6) <아직 일어나지 않은 일>에서 사람들은 지구가 곧 멸망하는데도 마치 오늘이 내일로 이어지고 내일이 또 다른 내일로 이어지듯 일상을 그대로 영위합니다. 바뀐 것은 버스 요금이 공짜라는 것이나 길에서 고통 없이 죽는 엉터리 약을 파는 사람이 등장하는 정도에 불과하며 화자도 기껏 하는 생각이 휴대폰 할부금을 더 이상 내지 않아도 되겠구나 하는 것입니다. 어떻게 이런 예사롭지 않은 결말이 나왔습니까?
In your work, What Has Yet to Happen, the characters continue to live their lives, going from one day to the next and so on when the Earth, as they know it, will soon collapse. The only changes they experience, for example, are that the bus fare become free and street venders are selling fake pills that can kill a person pain-free. Even the narrator thinks not much other than she will no longer need to pay the monthly Installment for her cell phone. How did you arrive at such an unusual conclusion?

너무나 황당한 상황에 처하면 오히려 할 말을 잃는 경우가 많습니다. 저는 지구 멸망이 고작 14시간 정도 남은 상황에서는 모든 게 부질없을 거라고 생각했습니다. 만약 멸망까지 사흘, 혹은 일주일 남았다면 사정이 다르겠지요. 모두들 자신이 처한 상황을 받아들일 수 없어서 방화나 약탈, 강간, 살인 등 어떤 식으로든 발악하려 하겠지요. 그러나 남은 시간이 14시간밖에 없다면 그럴 여유도 없고 그럴 의미도 없고, 그저 주어진 상황을 담담하게 인정할 수밖에 없을 겁니다.

Well, we lose words when faced with a completely absurd situation. I thought everything will be meaningless at 14 hours to a total destruction of the Earth. If we had three days or a week to its destruction, things may be different. Then, no one will readily accept the fate and make last-ditch struggles, such as arson, looting, rape or even murder. However, when given only 14 hours, there will not be sufficient time nor meaningfulness–they will just calmly accept  the given situation.

그럼에도 어쨌든 아직 살아 있는데 의미 있는 일도 없고 할 일도 없다는 것, 그래서 지구 멸망조차 일상의 연속이 되는 삶, 그것이야말로 멸망만큼이나 황당하고 공포스러운 삶이 아닐까, 그렇게 생각하면서 이 작품을 썼습니다.

They are alive, but have nothing meaningful or have nothing to do. Even the destruction of the Earth lies on the continuation of their everyday life. Such a life would be as absurd and frightening as the destruction of the planet itself. This thought was the underlying motivation of the work.

7) 화자는 대학 시절에 지구가 멸망하면 짝사랑하는 사람에게 고백하러 가겠다는 생각을 갖고 있었는데, 실제 지구 멸망을 앞두고는 공에게 복숭아 통조림을 돌려주러 갑니다. 화자에게 사랑하는 사람이 없기 때문인가요, 아니면 다른 뜻이 있나요
The narrator in college thought she would approach the person she had a crush on only if the Earth gets destroyed. When that really happens, however, the narrator pays a visit to Gong to return a can of peach. Is this because the narrator has no one she fell in love with? Or did you have something else in mind?

화자가 대학 시절에 짝사랑했던 사람이 바로 공이라는 것이 작품 마지막에 암시됩니다. 그러나 지금 지구 멸망 전 마지막 순간을 공과 함께 보내는 그녀가 아직도 그를 사랑하는지 아닌지는 아무도 모릅니다. 그녀에게 다른 사랑하는 사람이 있는지 없는지도 소설에서는 드러나지 않습니다.

It is alluded at the end of the story that the narrator had a crush on Gong in college. However, It Is not clear if the narrator is still in love with Gong when she spends the last moments with him before the Earth’s destruction. The story does not reveal if the narrator has someone else she loves.

몇몇 독자로부터 화자가 공을 아직도 사랑하며 결국 지구 멸망의 날 사랑하는 사람을 만나겠다던 그녀의 꿈이 이루어진 것 아니냐는 질문을 받은 적이 있습니다. 독자가 그렇게 생각한다면 그것이 맞겠지요. 그러나 꿈이 이루어지자마자 지구가 멸망하게 되었으니, 그것은 기쁜 일일까요, 슬픈 일일까요?

Several readers have asked me If the narrator was and is in love with Gong and if she, indeed, fulfilled her dream of spending the final moments with someone she loves. If readers think that way, then that is correct. However, is the fulfillment a happy or sad thing since the Earth collapses as soon as her dream comes true?

저는 세상일은 알 수 없고 사람의 인연도 알 수 없다는 생각으로 이런 결말을 택했습니다.

I chose such an ending because I believe the things in the world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people cannot be fully understood.

8) 번역되기를 바라는 다른 작품이 있다면 소개해주시기해 바랍니다.
Do you have other work you would like to see translated into another language?

장편소설 <여덟 번째 방>입니다. 중국어와 프랑스어로 번역이 되었으나 아직 영어로는 번역된 적이 없습니다. <여덟 번째 방>은 이사에 대한 소설이면서 ‘방’에 대한 소설입니다. 스물다섯 살짜리 청년이 처음으로 부모 집에서 독립하여 월세 10만원 단칸방에 입주하는데 그곳에서 예전 세입자의 노트를 발견합니다. 그 노트의 제목이 ‘여덟 번째 방’입니다. 노트에는 삼십 세 여성 화자가 ‘집’이 아니라 한 칸 ‘방’에서 ‘방’으로 여덟 번 이사 다녀야 했던 이십대를 회고하는 내용이 담겨 있습니다. 청년이 막 입주한 그의 인생 ‘첫 번째 방’이 그 여자의 ‘여덟 번째 방’이었던 것입니다. 청년이 호기심을 이기지 못하고 그 노트를 펼쳐 읽기 시작하면서 두 사람의 인연이 시작됩니다.

It would be The 8th Room, a full-length novel. It is already translated Into Chinese and French, but not in English. The 8th Room is a story about moving and a ‘room’. A 25 year-old young man leaves his parents and claims Independence for the first time. He moves into a shabby studio unit that charges about 100 USD monthly. He finds a notebook there. It’s a journal that had belonged to the previous tenant to the place. The title of the notebook is “The 8th Room” and, through it, a 33 year-old woman tells her story of herself moving from ‘a room’ to ‘a room’ 8 times, not from a complete house or apartment. In other words, ‘the first room’ for the young man was ‘the 8th room’ for the woman. As the young man gives in to his curiosity, he starts to read the journal and the relationship begins between the two.

저는 이 소설을 서서 썼습니다. 2008년 당시 허리 통증이 심해 의자에 오래 앉아 있을 수가 없었는데 문예지와 연재 계약을 맺은 작품이라 집필을 미룰 수도 없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이 소설을 떠올리면 책상에 종이 상자를 올리고 그 위에 다시 컴퓨터를 올려놓고 허리 통증을 참아가며 선 채로 자판을 두드리던 시간이 떠오릅니다. 그리고 이제껏 출간한 책들 가운데 가장 많은 독자들의 사랑을 받은 바 있어서 저에게는 여러 모로 의미가 남다른 책입니다.

I wrote this work on my feet. In 2008, I had severe pain on my lower back and couldn’t sit for long. At the time, I couldn’t postpone the work because of the serial contract I had with a literary magazine. So, when I think of the novel, I think of how I propped up my laptop on top of a box on top of my desk and typed away on the keyboard, bearing the backache all along. And, among my published work, that book received the most attention from the readers. In many ways, the book is quite meaningful to me.

And… wow.. that may stand among the interviews we’ve done here at KTLIT that we are proudest of.
As of now, there is really only one work of Kim’s fiction translated, but this work is so unexpected, and so clever, we hope more will follow.

And if you made it this far, for god’s sake follow KTLIT on twitter at.. @KTlit.